본문 바로가기

MSA8

[TIL 3] CircuitBreaker와 Resilience4j Today I Learned오늘은 서킷 브레이커에 대하여 공부를 하였다서비스 디스커버리와 로드 밸런싱은 어제 수업이 끝나고 추가로 공부하였으므로 주말을 이용하여  기록을 남겨야겠다 🧑‍💻[ 서킷 브레이커 ]서킷 브레이커는 마이크로서비스 간의 호출 실패를 감지하고 시스템의 전체적인 안정성을 유지하는 패턴이다. 외부 서비스 호출 실패 시 빠른 실패를 통해 장애를 격리하고, 시스템의 다른 부분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한다. 서킷 브레이커의 주요 상태 3가지Closed: 서킷 브레이커의 초기 상태로, 모든 요청이 정상적으로 통과하는 상태를 의미한다.Open: 서킷 브레이커가 설정된 실패 임계치를 초과하여 활성화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모든 요청이 즉시 실패하고, 원래 서비스에 전달되지 않는다.Half - .. 2024. 8. 2.
[TIL 2] MSA와 Spring Cloud Today I Learned오늘은 알고리즘을 2문제를 풀고, MSA, Spring Cloud에 대하여 공부하였다.알고리즘은 이제 처음 시작한 만큼, 쉬운 문제부터 하나씩 차근차근 풀어나갈 예정이다.Spring Cloud를 처음 공부하는 코린이🧑‍💻 입장에서 신기했던 것은 넷플릭스가 Eureka, Ribbon, Hystrix, Zull 을 개발했다는 것이었다. 넷플릭스가 Spring Cloud를 개발한 이유에 대해서는 블로그 중간에서 알려주기 때문에 블로그를 끝까지 읽어줘야 한다. [ MSA ]MicroService Architecture의 줄임말로, 애플리케이션을 작고 독립적으로 배포 가능한 서비스로 분할하는 설계 방식이다.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여러 개의 독립적인 서비스로 분리하여 개발, 배포, 유.. 2024. 8.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