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피 코딩/Network3

[네트워크] 패킷 분할의 세계와 계층별 데이터 단위 ❗본 포스팅은 널널한 개발자님의 강의 영상을 바탕으로 개인적으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이번 포스팅의 목표는 데이터의 패킷 분할까지의 과정을 이해하는 것!패킷이 어떻게 분할되는지 이해하려면 먼저 각 계층별 데이터 단위를 이해하고 이를 실전에서 어떻게 활용하는지 감을 잡기 위해 소켓도 간단히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 계층별 데이터 단위 위 그림을 보면 TCP/IP에서 각 계층별 데이터 단위가 어떻게 나뉘는지 확인할 수 있어요. 하지만 우리의 최종 목표는 ‘패킷 분할’을 완벽하게 이해하는 것! 그러니 좀 더 세부적인 그림을 통해 깊이 있게 접근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주의❗위 그림에서 L1 ~ L4는 OSI 7 계층에서의 각 계층을 의미합니다. 이전 그림과 비교해 보면, 이번 그림에서는 Socket이 추가된.. 2025. 3. 28.
[네트워크] 스타벅스에서 IPv4주소의 기본 구조 이해하기 ❗본 포스팅은 널널한 개발자님의 강의 영상을 바탕으로 개인적으로 정리한 내용입니다오늘은 스타벅스에서 커피 한 잔의 여유를 즐기며~ 공부한 IPv4 주소의 기본 구조에 대해 가볍게 정리해보려 합니다.혹시 “IPv4가 뭐였더라?” 하고 잠깐 멈칫하셨다면, 지금 같이 가볍게 복습해보시죠 :)💫 IPv4, OSI 7 계층에서의 역할과 구조네트워크를 공부하다, IPv4를 제대로 이해하려면 OSI 7 계층 중 3계층(네트워크 계층)에 대해 알아야 한다는 걸 알게 될 겁니다. 그렇다면, 3계층은 도대체 뭐하는 친구일까요? 3계층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바로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것, 즉 라우팅을 해주는 겁니다.여기서 사용되는 중요한 프로토콜이 바로 우리에게 익숙한 이름인 IP(Internet P.. 2025. 3. 22.
[네트워크] 사무실 네트워크는 이렇게 움직인다! ❗본 포스팅은 널널한 개발자님의 강의 영상을 바탕으로 개인적으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구성 요소별 역할 네트워크 계층 구조 예시 (L2 Access ➡️ L2 Distribution ➡️ L3 Router) 🖥️ L2 Access Switch사용자 단말기 (PC)와 직접 연결되는 스위치입니다.흔히 End-point와 연결되는 부분으로, 이 연결 지점을 포트(Port) 또는 인터페이스(Interface)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 한 층의 사무실 방 하나에 Access Switch 하나가 설치된다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 L2 Distribution Switch여러 개의 Access Switch를 집계(Aggregation)하는 역할을 합니다.쉽게 말해, Access Switch들을 위.. 2025. 3.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