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90

Palantir, 어디까지 알고 있어? 쉿! 🤫혹시 세상에서 가장 은밀한 기업,혹은 가장 위대한 기업,그리고 가장 혁신적인 기업이 어디인지 아시나요?그곳은 바로......팔란티어(Palantir) 입니다.오늘은 전 세계에서 가장 비밀스러운 기업,그리고 인공지능 시대의 그림자 같은 존재, 팔란티어를 함께 파헤쳐 보도록 하겠습니다 🕵️🚀 팔란티어 파헤치기아마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렇게 말할 거예요.“팔란티어? 처음 듣는데?” 그럴 만합니다. 팔란티어는 미국의 인공지능(AI) 데이터 분석 기업으로,CIA, 국방부(육·해·공·우주군) 등미국 정부 기관을 주요 고객으로 두고 있는 B2G(Business to Government) 사업 기반 기업입니다. 일반 개인이 접하기엔 꽤 어렵고,설령 접한다 해도 상상도 못 할 정도로 비싼 소프트웨어 서비스 .. 2025. 10. 16.
[Review] AI 전쟁 2.0 📖『AI 전쟁 2.0』을 읽고이 책은 대한민국 AI 최고 전문가인 하정우 수석과 한상기 박사가 질문과 대답 형식으로 풀어낸 책이다. 『AI 전쟁 2.0』을 덮고 가장 먼저 든 생각은,“와.. 수준 참 높다..” 나름 AI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생각했지만, 이 책은 내 지식의 범위를 확장시켜 주었다.책을 다 읽고 스스로 “내가 우물 안의 개구리였구나”라는 느낌을 지울 수 없었다. 🐸AI에 대한 기술적·경제적·정치적 큰 그림을 이해하게 되었고, 정말 시야가 탁 트이는 기분이었다. 역시 사람은 책을 읽어야 한다.(그리고 그 책이 좋은 책일수록, 생각의 깊이도 더 깊어지는 것 같다 💭) 올해 누군가 나에게 “책 한 권만 추천해 줘”라고 묻는다면, 주저 없이 『AI 전쟁 2.0』을 추천할 것이다.단언컨대,.. 2025. 9. 12.
[Review] 그림으로 이해하는 서버 구조와 기술 📖 책을 읽게 된, 특별한 계기한가로운 오후, 카페에서 코딩 삼매경에 빠져 있을 때, ☕갑자기 친구가 불쑥 던진 질문 하나."해피 코딩!! 근데 개발자는 대체 뭐 하는 사람이야?"💬 나름의 설명, 그리고 깨달음"음... 개발은 프론트엔드랑 백엔드 개발이 있는데, 일단 나는 백엔드 개발자야!"열심히 설명했지만, 친구의 표정은 점점 더... 🤔 화면에 보이는 걸 다루는 프론트엔드는 어떻게든 이해하는 것 같았는데,보이지 않는 백엔드는 도무지 감을 못 잡더라고요.사실 저도 그 순간 깨달았죠.'아, 내 설명이 너무 장황하고 어렵구나.' 그래서 생각했습니다.'만약 누군가 또 같은 질문을 한다면, 이번엔 명쾌하게 설명해주고 싶다!' 그래서 선택한 책이 바로『그림으로 이해하는 서버 구조와 기술』 어쩌면 이 책은,.. 2025. 8. 31.
[네트워크] 루프백, 빠르게 알고 가기 네트워크 공부를 하다 보면, 가끔 예상치 못한(?) 친구들이 툭 하고 등장하곤 합니다.브로드캐스트를 이해했더니, 이번엔 또 다른 친구 루프백의 등장! 브로드캐스트가 네트워크 전체에 메시지를 뿌려주는 거라면,루프백은 말 그대로 “내가 나에게 보내는” 특별한 통신 방식입니다. 🤔 그런데 이렇게만 들으면 살짝 낯설게 느껴지시죠? 그래서 오늘의 주제는 개발자 관점에서 바라보는 루프백을 빠르게 정리해보겠습니다.🎤 그 누구보다 빠르게, 남들과는 다르게, 색다르게—휘리릭! 정리하고 가시죠. 🚀루프백, 그게 뭔데❓루프백(Loopback)은 네트워크에서 “내가 보낸 데이터를 다시 나에게 돌려보내는 통신 방식”을 말합니다.👉 쉽게 말해, 내 컴퓨터가 스스로에게 메시지를 보내고 다시 받는 거죠. 여기서 드는 의문❗“.. 2025. 8. 30.
[네트워크] 한 번에 이해하는 DHCP 네트워크를 공부하다 보면 꼭 만나게 되는 친구가 있습니다.그것은 바로 DHCP❗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일명 동적 호스트 설정(구성) 프로토콜!이름만 보면 뭔가 복잡하고 어렵게 느껴지지만, 사실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오늘은 네트워크를 이해하는 데 있어 굉장히 흥미로운 개념인 DHCP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합시다 ☺️IP주소를 설정해본 적이 있나요❓혹시 직접 IP 주소를 수동으로 설정해 본 적 있으신가요?대부분의 경우 Wi-Fi나 유선 LAN에 단말기를 연결하면, 별도의 설정 없이 바로 인터넷이 되곤 합니다. 바로 이때, 우리가 눈치채지 못하는 사이에 뒤에서 DHCP서버가 알아서 IP를 배정해 주고 있었던 것입니다.즉, 내가 어떤 IP 주소를 사용할지 .. 2025. 8. 26.
[네트워크] 서브넷 마스크와 CIDR ❗본 포스팅은 널널한 개발자님의 강의를 바탕으로, 개인적인 해석·견해가 포함되어 정리된 내용입니다안녕하세요~ 여러분 🙂‍↕️ 오랜만에 네트워크 이야기 들고 왔습니다.오늘의 주제는 바로 서브넷 마스크와 CIDR(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최근 네트워크 관리사 2급 필기 시험을 보고 왔는데, 시험 문제에서 해당 내용이 나와서, “아, 이 내용은 꼭 블로그에 써야겠다!” 싶었습니다.그래서 오늘은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서브넷 마스크와 CIDR에 대하여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서브넷 마스크란❓예를 들어, 우리가 이런 IP 주소를 하나 받았다고 해봅시다.192 . 168 . 0 . 10 그럼 질문!이 주소에서 네트워크 ID는 어디까지고, 호스트 ID는 어디부터일까요? 🤔 …네,.. 2025. 8.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