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피 코딩69 [네트워크] 패킷 분할의 세계와 계층별 데이터 단위 ❗본 포스팅은 널널한 개발자님의 강의 영상을 바탕으로 개인적으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이번 포스팅의 목표는 데이터의 패킷 분할까지의 과정을 이해하는 것!패킷이 어떻게 분할되는지 이해하려면 먼저 각 계층별 데이터 단위를 이해하고 이를 실전에서 어떻게 활용하는지 감을 잡기 위해 소켓도 간단히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 계층별 데이터 단위 위 그림을 보면 TCP/IP에서 각 계층별 데이터 단위가 어떻게 나뉘는지 확인할 수 있어요. 하지만 우리의 최종 목표는 ‘패킷 분할’을 완벽하게 이해하는 것! 그러니 좀 더 세부적인 그림을 통해 깊이 있게 접근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주의❗위 그림에서 L1 ~ L4는 OSI 7 계층에서의 각 계층을 의미합니다. 이전 그림과 비교해 보면, 이번 그림에서는 Socket이 추가된.. 2025. 3. 28. [네트워크] 스타벅스에서 IPv4주소의 기본 구조 이해하기 ❗본 포스팅은 널널한 개발자님의 강의 영상을 바탕으로 개인적으로 정리한 내용입니다오늘은 스타벅스에서 커피 한 잔의 여유를 즐기며~ 공부한 IPv4 주소의 기본 구조에 대해 가볍게 정리해보려 합니다.혹시 “IPv4가 뭐였더라?” 하고 잠깐 멈칫하셨다면, 지금 같이 가볍게 복습해보시죠 :)💫 IPv4, OSI 7 계층에서의 역할과 구조네트워크를 공부하다, IPv4를 제대로 이해하려면 OSI 7 계층 중 3계층(네트워크 계층)에 대해 알아야 한다는 걸 알게 될 겁니다. 그렇다면, 3계층은 도대체 뭐하는 친구일까요? 3계층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바로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것, 즉 라우팅을 해주는 겁니다.여기서 사용되는 중요한 프로토콜이 바로 우리에게 익숙한 이름인 IP(Internet P.. 2025. 3. 22. NVIDIA AI Seminar 다녀왔어요!! 오늘은 NVIDIA에서 주최한 AI 세미나에 다녀온 후기를 공유해보려고 합니다.AI 기술이 눈부시게 발전하고 있는 요즘, 한편으로는 기대와 설렘이 가득하지만 또 다른 한편으론 걱정도 함께 드는 시기인 것 같습니다.이번 세미나에서는 NVIDIA의 전무님과 상무님이 직접 강연을 해주셨는데요, AI를 선도하는 테크 리더로서 NVIDIA가 그리고 있는 미래와 그에 대한 준비 과정을 엿볼 수 있는 의미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특히 이번 주는 마침 NVIDIA GTC 2025가 진행 중이라, 그 뜨거운 기술 열기를 세미나 현장에서도 고스란히 느낄 수 있었답니다. 이번 세미나를 통해 기술이 어떻게 우리의 삶을 바꿔갈지, 그리고 그 변화의 중심에 NVIDIA가 어떻게 자리하고 있는지 생각해보게 되는 시간이었습니다. NV.. 2025. 3. 20. [네트워크] 사무실 네트워크는 이렇게 움직인다! ❗본 포스팅은 널널한 개발자님의 강의 영상을 바탕으로 개인적으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구성 요소별 역할 네트워크 계층 구조 예시 (L2 Access ➡️ L2 Distribution ➡️ L3 Router) 🖥️ L2 Access Switch사용자 단말기 (PC)와 직접 연결되는 스위치입니다.흔히 End-point와 연결되는 부분으로, 이 연결 지점을 포트(Port) 또는 인터페이스(Interface)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 한 층의 사무실 방 하나에 Access Switch 하나가 설치된다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 L2 Distribution Switch여러 개의 Access Switch를 집계(Aggregation)하는 역할을 합니다.쉽게 말해, Access Switch들을 위.. 2025. 3. 15. [이론] 유니온 파인드 너무 쉬운데? 유니온 파인드유니온 파인드(Union-Find)는 여러 노드가 있을 때, 특정 두 노드를 연결해 하나의 집합으로 묶는 union 연산과, 두 노드가 같은 집합에 속해 있는지를 확인하는 find 연산으로 구성된 알고리즘입니다. 근데 솔직히, 글로만 보면 알 듯 말 듯 애매하게 느껴지죠? 이건 마치 제 재능 같은 느낌이네요. 😅그래서 한 마디로 정리하면 이렇게 이해하면 됩니다:union(a, b) 는 "a와 b를 합치라는 거구나! 둘을 같은 집합으로 묶어주는 거구나!"find(a) 는 "a가 속한 집합의 대표 노드를 찾아달라는 거구나!" 아직도 애매하다고 느껴지신다고요? 괜찮습니다!이 글을 끝까지 읽으시면, 여러분도 유니온 파인드의 이론을 완벽하게 이해하실 수 있을 겁니다.이 블로그를 발견한 당신, 이미 .. 2024. 12. 24. [백준 10986] '나머지 합' 가장 쉽게 이해하기 JAVA https://www.acmicpc.net/problem/10986 주의❗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먼저 '누적 합' 개념을 이해해야 합니다.이 글은 누적 합의 개념을 알고 있다는 가정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문제 출력 분류 핵심 분석 ✅ 문제를 풀기 전에, 시각적 자료를 활용하여 문제의 핵심 분석해 보겠습니다. 문제만 보면 다소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으니, 그림과 함께 살펴보며 이해해 보겠습니다.보다 쉬운 설명을 위해 문제의 예제 입력값을 참고하여 분석하도록 하겠습니다.예제 입력5 31 2 3 1 2 그림을 활용해 연속된 부분의 합 (Ai + ... + Aj) 이 M(3) 으로 나누어떨어지는 구간의 개수를 구해보았습니다. 누적 합 S 배열 구하기먼저, 합 배열 S를 구한 뒤, S배열에서 M(3) 으.. 2024. 12. 21. 이전 1 2 3 4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