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피 코딩/Network

[네트워크] 사무실 네트워크는 이렇게 움직인다!

by happy-coding 2025. 3. 15.
❗본 포스팅은 널널한 개발자님의 강의 영상을 바탕으로 개인적으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 구성 요소별 역할

  • 네트워크 계층 구조 예시 (L2 Access ➡️ L2 Distribution ➡️ L3 Router)

 

🖥️ L2 Access Switch

  • 사용자 단말기 (PC)와 직접 연결되는 스위치입니다.
  • 흔히 End-point와 연결되는 부분으로, 이 연결 지점을 포트(Port) 또는 인터페이스(Interface)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 한 층의 사무실 방 하나에 Access Switch 하나가 설치된다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 L2 Distribution Switch

  • 여러 개의 Access Switch를 집계(Aggregation)하는 역할을 합니다.
  • 쉽게 말해, Access Switch들을 위한 스위치라고 볼 수 있습니다.
  • 네트워크의 성능과 확장성을 고려한 중간 관리자 같은 역할을 수행합니다.

💡 Access Switch가 방마다 하나씩 있다면, L2 Distribution Switch는 한 층에 하나 정도 설치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 L3 Router

  • L2 스위치들 간의 트래픽을 라우팅(경로 설정)하여 서로 다른 네트워크 대역 간 통신을 가능하게 합니다.
  • 인터넷과의 연결 과 같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합니다.

💡 각 층에 L2 Distribution Switch가 하나씩 설치된다면, 한 건물 하나에 R3 라우터가 하나씩 설치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 그림을 통해 사무실 네트워크 흐름 이해하기

 

1️⃣ Room1과 Room2를 보면, 한 층의 사무실에 각 방마다 L2 Access Switch가 하나씩 설치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각 방에 설치된 L2 Access Switch는 그 층의 L2 Distribution Switch에 연결되어, 네트워크 흐름을 관리합니다.

3️⃣ 그리고 각 층에 설치된 L2 Distribution Switch들이 모여 하나의 R3 Router로 연결되며, 층간 통신을 원활하게 처리합니다.

 

💡 Up-link는 하위 네트워크 장비가 상위 네트워크 장비와 연결되는 전송 경로를 의미합니다.


✍️ 마무리

이처럼 네트워크는 L2 Access ➡️ L2 Distribution ➡️ L3 Router 계층 구조로 나뉘며, 각 계층이 역할을 나누어 복잡한 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관리합니다.

실제 기업 네트워크에서도 이런 구조가 자주 사용되며, 확장성, 보안성, 유지보수 측면에서 큰 장점을 제공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