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90 [TIL 11] Chater 1. 과제와 피드백 내용 Today I LearnedChater 1. 과제 제출에 대한 튜터님 피드백을 받게 되었다튜터님께서 해주신 피드백은 Layered Architecture Pattern에 대한 내용이었다🔥 경력이 많은 선임 개발자가 내 코드를 보고 해주는 조언인 만큼 새겨듣고, 문제를 파악하고, 기록하며 더 좋은 코딩 습관을 만들도록 하자!![ Chapter 1. 과제 발제 ]MSA, 인메모리 저장소(Redis cache), 프로젝트 관리 심화과정을 응용해 보는 개인 프로젝트 과제입니다패키지명 규칙과 포트 규칙 준수패키지명은 com.sparta.msa_exam 으로 설정하고 유레카 서버는 19090 포트로 실행되도록 설정해주세요.게이트웨이 서비스는 com.sparta.msa_exam.gateway 패키지로 추가하고 19.. 2024. 8. 15. [TIL 10] 대규모 스트림 처리 Today I Learned대규모 시스템을 알아보고, 데이터 베이스 최적화와 데이터 일관성 유지에 대하여 공부하자!! 스포❗ - 내용이 길지만 어려운 내용은 없습니다ㅎ.. 맘 편히 읽어도 될 거 같아요 👏[ 대규모 시스템 ]인터넷 환경에서는 수백만 명의 사용자가 동시에 접속하고 상호작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하는 상황이 자주 발생합니다.이러한 시스템은 단순히 많은 사용자를 처리하는 것뿐만 아니라, 안정성과 신뢰성을 유지하면서 고성능을 제공해야 합니다. [ 스케일 업 / 스케일 아웃 ]스케일 업(scale up): 수직적 규모 확장은 서버에 고사양 자원(더 좋은 CPU, 더 많은 RAM)을 추가하는 것을 뜻합니다.스케일 아웃(scale out): 수평적 규모 확장은 더 많은 서버를 추가하여 성능을.. 2024. 8. 13. [Redis] Spring Boot 프로젝트에 캐싱 적용하기 🔥 @Cacheable, @CachePut, @CacheEvict 어노테이션의 사용법을 알아보고, 데이터 조회 결과를 캐싱해보자!중요❗ 헷갈릴수 있으므로 꼭 노션의 코드와 비교하며 읽도록 하자![ 설정 확인 ]우분투 도커에서 Redis 실행 확인docker psbuild.gradle dependencies { // jpa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data-jpa' // redis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data-redis'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 2024. 8. 13. [TIL 9] 캐싱 개념과 캐싱 전략 이해하기 Today I LearnedChapter 1. 프로젝트에서 조회를 하면 캐싱 된 데이터를 가져오고, 데이터를 추가하면 캐시를 갱신해 주는 기능을 구현하고 사용했기 때문에 기록으로 남겨 두려고 한다.🔥 여기서는 캐싱의 개념과 전략에 대하여 이해하고, 실습은 추가로 블로그를 작성하고 기록하도록 하자.[ 캐싱 ]Redis에서 많이 활용되는 주제로 캐싱은 자주 사용되는 데이터를 더 빠른 캐시에 저장하는 기법을 부르는 용어입니다.[ 캐시 ]Cache는 본래 CPU 내부의 작은 영역으로, 정말 빈번히 접근하게 되는 데이터를 저장해두는 임시 기억 장치입니다. 기본적으로 데이터를 디스크에 저장하고, 데이터의 빠른 활용을 위해 메모리(RAM)에 저장한다면, 자주 사용하는 휘발성 데이터가 캐시에 저장됩니다.빈번하게 접.. 2024. 8. 12. [TIL 8] @ManyToOne, @OneToMany 정복하기 Today I Learned🔥 오늘은 @ManyToOne과 @OneToMany를 공부하고, 간단한 사용 코드 예시도 함께 보며 연관 관계를 정복하자!![ @ManyToOne ]예시를 위해 음식 Entity와 고객 Entity가 N 대 1 관계라 가정하여 관계를 맺어보겠습니다. @ManyToOne@ManyToOne 애너테이션은 N 대 1 관계를 맺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단방향 관계 ]어제 TIL에서도 강요했지만 연관 관계는 외래 키 개념만 확실히 잡게 되면 이해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외래 키의 주인 정하기중요❗ - 외래 키 주인만이 외래 키 를 등록, 수정, 삭제할 수 있으며, 주인이 아닌 쪽은 오직 외래 키를 읽기만 가능합니다. 음식 Entity가 N의 관계로 외래 키의 주인음식@JoinColumn(.. 2024. 8. 10. [TIL 7] 부족한 부분 채워 나가기 Today I Learned🔥 오늘은 알고리즘을 1문제 풀고, Chapter 1. 개인 프로젝트 진행 및 Entity 연관 관계를 공부하였다[ 문제 ]Chapter 1. 프로젝트 진행하며 느낀 점은 Entity 연관 관계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는 것이었다. 관계에 있어서 어느 쪽이 외래 키의 주인이며 @ManyToOne과 @OneToMany의 정확한 차이점을 구별하지 못하였고, 단방향과 양방향을 사용하는 이유에 대해서도 정확히 알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고 느꼈다 새로운 기술을 습득하며 앞으로 나아가는 것도 중요하지만, 지금처럼 스스로 공부가 부족하다고 느끼는 부분을 인지하고 부족한 부분을 채워나가는 것 또한 굉장히 중요하다고 느꼈다.프로젝트를 통하여 더 늦기 전에 나에게 부족한 부분을 확인할 수 있어서.. 2024. 8. 8. 이전 1 ··· 10 11 12 13 14 15 다음